차세대반도체

DRAM/NAND 메모리 반도체의 과거, 현재 및 미래

강대웅

서울대학교

대한민국의 메모리 반도체의 과거와 현재 현황 짚어 보고 이를 통한 미래에 대한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한민국의 메모리 반도체의 과거와 현재 현황 짚어 보고 이를 통한 미래에 대한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추천대상

메모리 반도체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강의내용(요약)

- 반도체 없이 살 수 없는 시대가 왔습니다. 반도체는 이제 사회와 산업의 생명수이자 권력입니다. 모든 것을 움직이고 연결할 수 있지만, 모든 것을 멈추고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1960~1970년대 노동집약적인 우리 경제를 첨단·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탈바꿈시킨 반도체가 이제 기술 패권 경쟁과 4차 산업혁명 속에 새로운 시대를 맞았습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는 시스템반도체와는 달리 대한민국에서 세계 1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자국내 반도체 역량강화 및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의해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에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생태계 확장은 어느 때보다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우리 수출 산업의 첨병을 넘어 경제 안보 자산으로 평가 받는 한국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현주소를 면밀히 짚어보고, 무엇을 준비하고 미래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짚어 봄으로써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Insight를 배양하고자 합니다.

수강 후 기대효과

메모리 반도체 대한 Insight 능력 배양

강의 참고자료

강사정보

이름

강대웅

소속

서울대학교

이메일

freekite@snu.ac.kr

강사이력

  • 2022.10~Present : 서울대학교 차세대 반도체 혁신 공유 사업단 교수

  • 2022.~2022.9 : 국립 교통대 화학산업연구소/전자공학 연구 교수

  • 2019.4~2022.3 : SK Hynix NAND 개발 NAND PI VP(Fellow)

  • 2015.11~2019.3 : SanDisk/WDC NAND PI Senior 수석 연구원

  • 2015.3~ 2015.10 : University of North Texas 박사 후 연구원

  • 2000.2~ 2015.3 : 삼성전자 NAND PA 수석 연구원

DRAM/NAND 메모리 반도체의 과거, 현재 및 미래

강의 정보

날    짜

2023-07-07

강의실

학생회관 프라임홀

시    간

13:00-14:30

수강자

현장강의 : COSS 재학생 신청 가능

찜하기

공유하기

Notice
  • 게시물이 없습니다.
  • hiding